중증장애인의 생명을 경외하고 권익을 보호하며
올바른 자립생활이념을 실현
중증장애인의 잠재된 능력을 키워 현 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사회적 생산기반 구축
중증장애인의 권익을 보호하고 향상시키며 당당한 시민으로서 지역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한다.
핵심가치 | 전략목표 | 세부추진전략 |
소통 | 전문적인 동료상담사를 지원하여 적극적인 지역사회 활동 유도 및 사회적 지지망 구축 | 동료상담을 희망하는 희귀난치 신근경계, 근육 등 최중증장애인에게 동료 상담가 파견, 내방 또는 통신수단을 이용한 일상적 집단 동료상담 |
전문 자격을 갖춘 상담사가 심리상담, 가정(폭력)상담, 여성장애인 전문상담 등을 통해 장애인자녀의 자립생활 교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모에게 해결책 제시 | ||
개별상담을 희망하는 희귀난치 신근경계, 근육 등 장애인에게 코로나19를 비롯한 감염병 위기 속에서 통신수단을 이용한 비대면 1:1 동료상담. 상담 후 필요사항 가정지원 | ||
자립 | 장애인에 대한 자기관리교육을 통해 자존감 향상을 돕는 인지 교육 프로그램 실시 | 다양한 여성장애인들의 장애와 특성을 고려한 자립생활에 필요한 자기관리기술교육 실시 미용전문가와 함께 가꾼 스스로의 꾸밈새를 통해 장애로부터 발생하는 신체의 열등감 해소, 자기신뢰 회복 및 자아존중감 생성 |
맞춤형 요리 식료품 및 물품 지원 | 코로나 19로 외출이 어려워진 중증장애인에게 음식 조리 등의 기회를 제공하여 자립적으로 식생활을 관리하고 영양을 보충할 수 있도록 지원 | |
집중력과 운동능력, 소근육 향상을 통해 코로나 블루 예방 및 자존감 향상 도모 | 코로나19로 사회활동이 단절된 중증장애인들에게 사회적 거리 두기 적응훈련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통신수단을 이용한 비대면 1:1 키트를 지원하고, 가정 내에서 중증장애인의 운동능력 및 집중력 향상, 타악기 연주를 바탕으로 하는 코로나 블루 예방을 통해 자립생활을 실천하도록 훈련 | |
코로나 19 상황 속에서 중증장애인의 우울감 해소를 돕고 건강관리를 스스로 할 수 있도록 교육 | 감염병으로 인해 외출이 어려워진 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12월의 의미를 담아 즐겁고 안전한 겨울나기 자립생활 프로그램 실시 | |
개선 | 최중증장애인의 권익신장과 원활한 활동을 위해 지역사회 인식 개선 및 장애인 정책 개편 추진 | 장애인당사자 개별옹호지원 체계 구축, 옹호지원사례 수집, 당사자 옹호지원 활동 |
장애인 인식 개선 활동을 통해 중증장애인의에 대한 편견을 바로잡고 자립생활 이념 보급 및 지역사회 센터 홍보 | ||
당사자 인권 향상을 위한 기술교육 훈련, 인권강사 양성 및 장애인 관련 기관, 초,중,고, 대학교, 공공기관, 인식 개선 등 일반기업에 인권 강사를 파견하여 장애인 인권과 인식개선 교육 활동을 하며, 정책 제안 등 권익 옹호 활동 전개 | ||
이해 | 사회활동을 독려하고 자립생활에서 발생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생활시설로의 입소를 예방 | 시중에 보편화된 보장구 제품이 맞지 않아 불편함에 고통 받고 있는 중증장애인의 의견을 수렴하여 특성에 맞는 중증장애인 보장구 연구 및 개발 |
시설 입소를 예방하고 고위험 최중증장애인 가구에게 우선적으로 맞춤형 주택개조, 형식적인 선택형 개조가 아닌 장애 특성에 맞는 맞춤형 개조지원 | ||
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자립생활중인 장애인을 대상으로 안전을 위해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마스크, 소독제, 등 배분하고 격리 조치된 장애인을 돌볼 수 있도록 방역복 등을 지원 | ||
공유 | 자립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장애에 대한 비장애인의 인식수단을 보급하고, 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활용 가능한 자원에 대해 홍보 | 센터 소식을 지역사회 장애인에게 안내하여 실시간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, 자립생활 이념을 전파하여 서비스 접근성 제고 |